특집
삼출성 중이염의 합병증
1,*, 1
1,*, 1
Published Online: May 31, 2020
요약
중이염에 대한 정의와 분류는 학자에 따라 아주 다양 하다. Jung 등1)은 중이강 내의 어떠한 염증성 변화가 있 는 것을 중이염이라 정의하고 이를 삼출액의 성상과 병 의 진행과정에 따라 화농성중이염(purulent otitis media, POM), 장액성중이염(serous otitis media, SOM) 및 점액성중이염(mucous otitis media, MOM)으로 분류 하였다. 삼출액의 원인이나 성상에 관계없이 중이강 내 에 삼출액이 만성적으로 저류되는 것을 삼출성중이염(otitis media with effusion, OME)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, 따라서 화농성중이염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. 그러나 일반적인 의미에서 삼출성 중이염은 발열이나 이통 등 의 급성 증상이 없는 잠재성, 아급성 중이염을 말한다. 이 러한 삼출성 중이염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학동기에서는 주로 감기 후 발생한 중이염이 삼 출성 중이염으로 진행하며 학동기 난청의 가장 많은 원 인이 된다. 따라서 여기서는 주로 학동기 이전의 아동에 서 이러한 의미의 삼출성 중이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 는 합병증과 후유증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.
Keywords: 삼출성 중이염; 합병증; 후유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