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명장애의 비성과 비성도 평가
Published Online: May 31, 2020
요약
공명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정상적인 발음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구개(velum)가 뒤 방향과 위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면서 측 인두 벽을 안쪽으로 모아 구개인두 부위를 닫게 하여 구강 인두와 비인두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 문제가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. 연구개와 측인두벽, 후인두벽이 중앙으로 모이는 과정을 연인두 폐쇄라고 하며 여기에 문제가 있을 때 연인두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그 결과로 과대비성, 무비성, 과소비성 등의 공명장애가 나타난다. 이러한 연인두 기능장애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해부학적인 구조적 결함이 있을 때 연인두 폐쇄 부전(velopharyngeal insufficency)라고 하며, 주로 구개열, 점막하 구개열, 구개 누공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 두 번째는 신경학적인 장애(neuromuscular discoordination)로 인한 연인두 폐쇄 부전(velopharyngeal incompetency)으로 말운동장애(motor speech disorders), 뇌성마비와 같은 신경장애가 여기에 해당한다. 세 번째는 앞에서 언급한 구조적, 신경학적 문제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공명장애가 나타나는 연인두 폐쇄의 잘못된 학습(velopha-ryngeal mislearning)의 경우로 청각장애나 기능적 조음장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1) 이와 같이 공명장애의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및 평가가 중요하다. 공명 및 연인두 기능에 대한 평가로는 말 자료로 시행하는 지각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수치를 제시할 수 있는 기기적인 평가로 이루어진다. 지각적 평가 방법은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단순히 말소리만 들어 보는 것만으로도 공명장애를 평가할 수 있지만 경험이 부족한 경우는 말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일부 보조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. 공명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기기로는 비성도 측정 검사(nasometry), 기류역학검사(aerodynamic), 비인두 내시경 검사(naso-pharyngoscopy), 비디오 투시검사(videofluoroscopy), MRI, 초음파 등 다양한 기기들이 사용 되고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