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Clinical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
The Busan, Ulsan, Gyeoungnam Branch of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-Head and Neck Surgery
특집
노인성 어지럼증
김미주1, 한규철2,*
Mi Joo Kim1, Gyu Cheol Han2,*
Published Online: May 31, 2020
요약
국내에서 어지럼증의 발병률이나 유병률이 체계적으 로 조사된 바가 없다. 이는 어지럼증을 개개의 독립된 질 환으로 접근하는 진단방법이 주류를 이루어 왔기 때문이 다.1) 물론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, 전정신경염,메니에르 병과 같이 문진이나 이학적 검사만 으로 확연히 구별되는 질환을 주로 다루기 때문이기도 하 다. 어지럼증을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검사소견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들을 흔히 접하게 된다. 즉,환자의 전정기능과 주관적 느낌이 항상 일치를 하는 것이 아니며 그 대표적인 예가 멀미이다.2)심리적 혹 은 평형감각 자체를 정량화하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 은 상황에서 전정기능검사상 정상이면서 만성적인 어지 럼을 호소하는 대표적인 경우가 노인의 신체 균형문제이 며 이는 낙상이라는 이차적인 문제로 이어져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-경제적 부담의 원인을 제공 한다.3,4)
Keywords: 노인병; 어지럼증; 전정; 대사질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