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able 6. Respiratory rules

성인 호흡 장애 판독 규칙
 A. 무호흡 (온도 측정 센서 이용)
  폐쇄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기간 : 10 초 이상+호흡노력 : 전 무호흡 기간 동안 흡기노력 지속 또는 증가 [권장]
  혼합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기간 : 10 초 이상+호흡노력 : 무호흡 기간 처음에는 흡기노력 없음, 이후 흡기노력 지속 또는 증가 [권장]
  중추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기간 : 10 초 이상+호흡노력 : 전 무호흡 기간 동안 흡기노력 없음 [권장]
 B. 저호흡 (압력 측정 센서 이용)
  폐쇄성 저호흡-호흡 진폭 : 30% 이상 감소+기간 : 10 초 이상+산소 불포화 ≥3% 또는 각성 연관+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[권장]
  1. 저호흡 기간 동안 코골이
  2.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 증가
  3. 역설적인 흉복부 운동
  중추성 저호흡-호흡 진폭 : 30% 이상 감소+기간 : 10 초 이상+산소 불포화 ≥3% 또는 각성 연관+다음 모두가 없는 경우 [권장]
  1. 저호흡 기간 동안 코골이
  2.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 증가
  3. 역설적인 흉복부 운동
 C.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(압력 측정 센서 이용)
  호흡 진폭 :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 증가 (호흡노력의 증가)+기간 : 10 초 이상+각성 연관+무호흡이나 저호흡의 기준에 해당되지 않음
 D. 저환기
  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[권장]
  1. 10분 이상 PaCO2가 55 mmHg 이상인 경우
  2. 똑바로 누운 각성 상태 (awake supine value)에 비해 수면 중 PaCO2가 10 mmHg 이상 증가하면서 10분 이상 PaCO2가 50 mmHg 이상인 경우
 E. Cheyne-Stokes 호흡
  다음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 [권장]
  1. 호흡진폭에서 crescendo 및 decrescendo의 변화를 보이는 40초 이상의 주기적인 호흡에 의해 구분되는 3개 이상의 연속된 중추성 무호흡 그리고/또는 중추성 저호흡
  2. 2시간 이상의 모니터링에서 crescendo 및 decrescendo호흡 양상과 연관된 수면 1시간당 5개 이상의 중추성 무호흡 그리고/또는 중추성 저호흡
  소아 호흡 장애 판독 규칙
 A. 무호흡 (온도 측정 센서 이용)
  폐쇄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기간 : 2호흡 이상+호흡노력 : 전 무호흡 기간 동안 흡기노력 지속 또는 증가 [권장]
  혼합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기간 : 2호흡 이상+호흡노력 : 무호흡 기간 동안 순서에 관계없이 흡기노력이 없는 부분과 흡기노력이 지속 또는 증가된 부분이 있는 경우 [권장]
  중추성 무호흡-호흡 진폭 : 90% 이상 감소+호흡노력 : 전 무호흡 기간 동안 흡기노력 없음+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[권장]
  1. 기간 : 20초 이상
  2. 기간 : 2호흡 이상+산소 불포화 ≥3% 또는 각성 연관
  3. 기간 : 2호흡 이상+5초 이상 심박수가 분당 50회 미만 또는 15초 이상 심박수가 분당 60회 미만 (1세 미만에 한함)
 B. 저호흡 (압력 측정 센서 이용)
  폐쇄성 저호흡-호흡 진폭 : 30% 이상 감소+기간 : 2호흡 이상+산소 불포화 ≥3% 또는 각성 연관+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[권장]
  1. 저호흡 기간 동안 코골이
  2.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 증가
  3. 역설적인 흉복부 운동
  중추성 저호흡-호흡 진폭 : 30% 이상 감소+기간 : 2호흡 이상+산소 불포화 ≥3% 또는 각성 연관+다음 모두가 없는 경우 [권장]
  1. 저호흡 기간 동안 코골이
  2.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 증가
  3. 역설적인 흉복부 운동
 C.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(압력 측정 센서 이용)
  기간 : 2호흡 이상+각성 연관+무호흡이나 저호흡의 기준에 해당되지 않음+다음 중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[권장]
  1. 증가하는 호흡노력
  2. 흡기비강압력파형의 편평함
  3. 코골이
  4. 이전 기저호흡에 비해 증가된 호기말 PCO2
 D. 저환기
  동맥에서 또는 대체방법으로 측정된 PCO2 값이 50 mmHg를 초과하는 경우가 총 수면시간의 25%를 초과할 때 [권장]
 E. 주기성 호흡
  20 초 이하의 정상호흡에 의해 구분되는 3초 초과의 중추성 호흡정지 (호흡기류와 호흡노력이 없음)가 3개 이상인 경우